제목 | 변인은 21일 논평에서 "김민석 |
---|---|
작성자 | test |
작성일 | 25-07-02 02:18 |
조회 | 1회 |
관련링크
본문
최수진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21일 논평에서 "김민석 후보자가 중국 칭화대 법학석사 논문에서탈북자라는 표현 대신 '배반하고 도망.
국민의힘은 김민석 총리 후보자의 과거 중국 칭화대 논문에서탈북자란 표현 대신, 배신하고 도망했단 의미의 '반도자'라 명시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최수진 원내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한 언론에서 김 후보자의 과거 법학석사 논문 제목에탈북자대신 '도북자'란.
최수진 국민의힘 원내대변인 국민의힘은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중국 칭화대 법학석사 논문에서탈북자라는 표현 대신에 '배반하고 도망간 사람'이라는 뜻의 '반도자'라고 명시했다"며 사과를 촉구했습니다.
최수진 원내대변인은 오늘 논평에서 "언론에 따르면.
국무총리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여야는 주말인 오늘(21일)도 공방을 이어갔습니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가 논문에서탈북자를 배반자로 표현했다며 사과를 요구했습니다.
민주당은 정부 발목잡기라며 방어에 나섰습니다.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국민의힘은 21일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중국 칭화대 법학석사 논문에서탈북자라는 표현 대신에 ‘배반하고 도망간 사람’이라는 뜻의 ‘반도자’(叛逃者)라고 명시했다”며 사과를 촉구했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2010년 중국 칭화대에서 취득한 석사학위 논문에서 북한 이탈 주민(탈북자)을 ‘도북자(逃北者)’와 ‘반도자(叛逃者)’로 표현해 논란이 일고 있다.
엄밀한 의미에서 두 단어는 뜻이 다르다.
‘도북자’는 북한에서 도망친 사람이란 뜻.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4일 “대북 전단 살포에 대해 (사전) 예방과 사후 처벌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하자탈북자와 관련 단체가 “헌법상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탈북자주모씨는 “전단 살포는 분단 이후 쭉 이어져온 대북 정보 전달 통로.
김 후보자는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최수진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김 후보자는 중국 칭화대 법학석사 논문에서탈북자라는 표현 대신 ‘배반하고 도망간 사람’이라는 뜻의 ‘반도자(叛逃者)’라고 명시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청문회 일정을 3일로 연장해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고도 했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가 2010년 중국 칭화대 법학석사 논문에서 ‘탈북자’라는 표현 대신 ‘도망하다(逃)’ ‘배반하다(叛)’라는 뜻의 단어를 활용해 ‘도북자’ ‘반도자(叛逃者)’라고 지칭한 것을.